돈땡과 종목 횡목등 몇가지 질문드리겠습니다.

질문과답

돈땡과 종목 횡목등 몇가지 질문드리겠습니다.

2 김민철 7 6,650
돈땡에서 구와이 돈땡과 하리돈땡이 있는데
어느때 구와이 돈땡이 쓰이고 어느때에 하리 돈땡이 쓰이는건가요?


위질문과 흡사한..어느때 종목종이를 쓰고 횡목종이를 쓰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작업사이즈에따라 달라지는거 같은데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가로길이가 길면 횡목 머 이런식인지요

쿽에서 돔보선은 자동으로 들어가는건가요?  일러나 포토샵에선 따로 만들어줘야 하던데 쿽에서는 만들수도 없고 그냥 자동으로 들어가는거 같아 신경안쓰다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또 일러작업이나 포토샵작업시에 돔보선은 디자이너가 꼭 넣어줘야하는건지요
저는 항상 안넣어줬는데; 출력소에서 알아서 넣어주는거 같아서요
디자이너가 꼭 넣어줘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Author

Lv.2 2 김민철  실버
4,490 (83%)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Comments

2 김민철
다른분들의 답변도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1 사탄
쿽에서 돔보 자동넣기가 있지만 그다지 많이 사용하지는 않습니다.[제경험상에만] 출력실은 돔보가 들어가있는 판형을 미리 만들어두어서 작업물을 거기에 집어넣고 출력보내는게 보통입니다.만들어논 판형에 돔보가 있는거지요. 거래하시는 출력소에 판형좀 달라고 하면 줄겁니다.
 그리고 출력실에서도 이런게 좀 잇네요.
판형에 다 앉혀서 오면 출력실에서는 좀 편합니다.[제단선까지 다해오시면] 그럼 오류를 좀 더 꼼꼼히 챙기게 대는거 같구요 그냥 작업물만 보내면 판형에 앉히고 이거저거 하다보면 꼼꼼하게 체크를 못해주는거 같습니다.무슨 뜻인지 이해를 하셧는지;; 말주변이 없어서.....
아무튼 하리꼬미에 대해 30분만 투자하시면 절대 손해보는일은 없으니 배워보시길 권합니다. 
1 햅쌀
가로결로 만들면 책이 울어나옵니다(책이 시간이 지날수록 오그라듬). 상식이죠. ^^; 
3 라인하르트
햅쌀// 책만들때 세로결로 만드어지나요? 가로결로 알고있었는데... 세로결로하면 잘 찢어지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건가요? 
2 김민철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1 햅쌀
1.
뒷면 인쇄를 위해 종이 뒤집는 방식을 어떻게 하겠다 입니다.
뒤집는 방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터잡기(하리꼬미) 방식이 달라집니다.
돈땡은 인쇄판은 그대로 두고 종이만 뒤집어서 인쇄하는 방식입니다.

우리가 책을 볼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넘기는 것처럼 좌우로 종이를 뒤집어 인쇄하는 방식이 하리돈땡이며,
이에 반해 상하로(더 정확하게는 밑에서 위로) 종이를 뒤집는 방식을 구와이 돈땡이라고 합니다. 마치 스프링제본된 달력을 넘기는 것으로 생각하심 됩니다.
구와이는 인쇄기계가 종이를 물고 들어가는 곳을 말하는데,
용지의 긴쪽이 항상 구와이면이 됩니다.
답변주신 윗분의 링크된 글을 보면 반대로 설명되어 있어 저도 좀 헷갈리는데... 어쨌든 결과는 같습니다. ^^
일반적으로 하리돈땡을 많이 사용합니다. 보다 핀 정확도가 높다는 이유에서입니다.

2.
종목과 횡목을 얘기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은 종이결입니다.
종이결은 항상 책 기준으로 세로결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책이 완성(제본)되었을 때 울어나오지 않습니다.
군대 갔다 오셨다면 아시겠지만
일렬 종대, 일렬 횡대... 아시죠? ^^
종대는 위에서 아래로 수직선 개념이고,
횡대는 좌에서 우로(또는 우에서 좌로) 수평선 개념입니다.
그러므로 종목은 세로용지를 기준으로 세로결이 나와 있는 종이이고,
횡목은 가로용지로 세로결이 나와 있는 종이입니다.
국8절(대략 A4크기)로 인쇄한다면 국전지 횡목으로 주문해야 합니다.
이유는.... 접어보시면 압니다. ^^

3. 마지막으로
쿼크에서 돔보선은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물론 인쇄 명령을 주고 대화상자에서 돔보선 출력을 하겠다고 지정해 줘야 합니다.
쿼크에서 돔보선은 맞춤표라고 합니다.

그런데 항상 안 넣어줬다는게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인쇄 용도는 매우 다양하므로
쿼크에서라도 돔보선을 수동으로 넣어줘야 할 때도 많습니다.
표지 같은 경우 젒지선도 만들어 줘야 할 것이고,
명함같이 문서 안에 여러 개를 앉힐 경우도 돔보선을 직접 넣어줘야 합니다. 
9 긴또까
터잡기에 대한것은
http://blog.naver.com/misyoo?Redirect=Log&logNo=140008252497

종이에 대한것은
http://jungrimpaper.com/com_know_b.php

그림으로 된거 찾아놨으니, 이해하기 편하실 겁니다.

출력실도 뜨네기들까지 신경은 못쓰지만,
거래업체라면, 어느정도 체크는 해주지요. 하지만 경력 쌓으시면서
꾸준히 배우시면 편한겁니다. 물로 디자이너가 알필요는 없지만....
대한민국 편집디자인 치고. 사무실에서 디자인만 하는 분은 몇분 안될것 같네요. 
Banner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